2023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개최 각종정보

BJ_크리스

·

2023. 7. 9. 00:32

반응형

2023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개최, 각종 분석 (상대팀 주요 선수, 전력 분석)

대표

곧 있으면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가 개최합니다. 일정은 7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호주(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퍼스)뉴질랜드(오클랜드, 웰링턴, 더니든, 해밀턴)에서 치러지는 이번 대회에 우리 대한민국 전사들이 출전합니다. 

2003년에 처음 출전한 우리 대한민국 대표팀은 총 4회(2003년, 2015년, 2019년 2023년)의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5년 대회에서는 16강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일단 이번 월드컵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개요

2023년 7월 20일부터 2023년 8월 20일까지 치러지는 이번 대회에서는 참가국이 24개에서 32개국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총 8개국이 대회 유치를 희망했으나, 최종 선택은 호주﹒뉴질랜드 공동개최가 되었습니다.

국  가 설  명
호주 ﹒ 뉴질랜드  
콜롬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7년 대회 재도전 예정
대한민국 본래 북한과 공동개최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남북관계 경색 및 국내법 관련 문제로 2019년 12월부로 유치를 철회
아르헨티나 2019년 12월부로 유치 철회
브라질 2020년 6월부로 유치 철회
일본 2020년 6월부로 유치 철회

결국 호주﹒뉴질랜드와 콜롬비아의 2파전이었으며, 2020년 6월 25일에 최종 투표가 진행되었고, 22:13으로 호주﹒뉴질랜드가 공동개최를 확정했습니다. FIFA 여자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공동개최이자 최초의 남반구 개최대회가 되었습니다. 또한 호주를 AFC로 분류한다면 FIFA 역사상 최초로 두대륙에서 공동개최하는 사례가 되게 됩니다. 또한 겨울에 열리는 월드컵입니다.

2023 FIFA 여자월드컵 AU-NZ 홍보영상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

1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이후의 주관대회에서 트로피를 엠블럼으로 사용한 것과는 달리 이번 월드컵에서는 축구공을 중심으로 32개국의 참가를 상징하는 사각형을 방사형으로 배치한 디자인이 채용되었습니다.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마스코트

2

축구를 사랑하는 암컷 펭귄 타주니(Tazuni)라고 합니다. 이름은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에 있는 바다인 "태즈매니아 해"와 결속을 뜻하는 "Unity"에서 따왔다고 하고, 나이는 15살이라고 합니다. (나이까지 있는 마스코트는 오랜만인듯?)

3
저 바다네요.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인구

4

이번 공인구의 이름은 오션즈(OCEAUNZ)라고 합니다.

대양을 뜻하는 오션(OCEAN)호주(AU), 뉴질랜드(NZ)의 이니셜을 결합하였으며, 아디다스에서 제작하였고, 2023년 1월 25일에 FIFA에서 공개하였습니다. 오세아니아의 두 대륙의 자연 경관을 연상시키는 문양을 시각화 한것으로, 호주 원주민인 체르니 서튼과 뉴질랜드 마오리족 피오나 콜리스등이 디자인에 참여했고, 카타르 월드컵의 알 리흘라처럼 반자동 오프사이드 기술에 활용될 전자센서장치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재밌는건, K리그 2023시즌에 공인구로 채택되었습니다.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공인구

호주 경기장

5

호주는 5개 도시 6개의 경기장에서 펄쳐집니다.

도시 경기장 수용인원
시드니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83,500명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42,512명
브리즈번 랭 파크 52,263
멜버른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30,052
퍼스 퍼스 오벌 22,225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쉬 스타디움 18,435

 

뉴질랜드 경기장

6

뉴질랜드는 4개 도시 4개의 경기장에서 펄쳐집니다.

도시 경기장 수용인원
오클랜드 이든 파크 48,276
웰링턴 웰링턴 리저널 스타디움 39,000
해밀턴 와이카토 스타디움 28,744
더니든 포아시스 바 스타디움 25,111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본선 진출팀

총 6개 대륙에서 32개팀이 진출하는 첫 대회인 만큼, 다양한 국가가 첫 출전인 팀들이 많습니다.

아시아 AFC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호주  개최국 2020년 6월 25일 8번째 2019 8강 13위
중국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2022년 1월 30일 8번째 2019 준우승 15위
한국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2022년 1월 30일 4번째 2019 16강 17위
일본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
2022년 1월 30일 9번째 2019 우승 11위
필리핀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
2022년 1월 30일 1번째 첫 출전 53위
베트남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PO1위
2022년 2월 6일 1번째 첫 출전 34위

 

오세아니아 OFC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뉴질랜드 개최국 2020년 6월 25일 5번째 2019 조별리그 22위

 

유럽 UEFA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스웨덴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A조 1위
2022년 4월 12일 9번째 2019 준우승 2위
스페인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B조 1위
2022년 4월 12일> 3번째 2019 16강 6위
프랑스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I조 1위
2022년 4월 12일 5번째 2019 4위 5위
덴마크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E조 1위
2022년 9월 2일 5번째 2007 8강 18위
노르웨이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F조 1위>
2022년 9월 2일 9번째 2019> 우승 12위
독일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H조 1위
2022년 9월 3일 9번째 2019 우승 3위
잉글랜드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D조 1위
2022년 9월 3일 6번째 2019 3위 4위
이탈리아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G조 1위
2022년 9월 6일 4번째 2019 8강 14위
네덜란드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C조 1위
2022년 9월 6일 3번째 2019 준우승 8위
스위스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G조 2위
유럽 PO 1위
2022년 10월 11일 2번째 2015 16강 21위
아일랜드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A조 2위
유럽 PO 2위
2022년 10월 11일 1번째 첫 출전 24위
포르투갈 2023 FIFA
여자월드컵
유럽예선 H조 2위
대륙간 PO A조 우승
2023년 2월 2일 1번째 첫 출전 23위

 

북중미 CONCACAF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미국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우승
2022년 7월 7일 9번째 2019 우승 1위
캐나다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준우승
2022년 7월 7일 8번째 2019 4위 7위
자메이카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3위
2022년 7월 6일 2번째 2019 조별리그 43위
  코스타리카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4위
2022년 7월 6일 2번째 2015 조별리그 37위
아이티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A조 3위
대륙 PO B조 우승
2023년 2월 22일 1번째 첫 출전 56위
파나마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B조 3위
대륙 PO C조 우승
2023년 2월 23일 1번째 첫 출전 57위

 

남미 CONMEBOL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콜롬비아 2022
코파아메리카 페메니나
준우승
2022년 7월 26일 3번째 2015 16강 27위
브라질 2022
코파아메리카 페메니나
우승
2022년 7월 26일 9번째 2019 준우승 9위
아르헨티나 2022
코파아메리카 페메니나
3위
2022년 7월 25일 4번째 2019 조별리그 29위

 

아프리카 CAF

출전자격 출전확정일자 진출횟수 최근출전 최고성적 FIFA 랭킹
남아공 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우승
2022년 7월 14일 2번째 2019 조별리그 54위
모로코 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준우승
2022년 7월 14일 1번째 첫 출전 76위
나이지리아 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3위
2022년 7월 13일 9번째 2019 8강 45위
잠비아 2022 CAF 여자
아프리칸 네이션스컵
4위
2022년 7월 13일 1번째 첫 출전 81위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중계방송

이번 2023 여자 월드컵의 대한민국 중계방송사는 KBS가 선정되었습니다.

 

| 2023 FIFA 여자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조 추첨 결과

이번 대회에서 재밌는 일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 결과에 따라 FIFA 주관 대회에서 조 추첨 대륙간 안배 원칙이 도입된 이래 최초로 조별리부터 유럽이 아닌 다른 대륙 국가 2개국이 묶이는 상황이 발생했다. 바로 파나마가 파라과이와 대륙간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승리하며 같은 대륙인 자메이카와 CONCACAF 내전이 탄생했습니다.

 

A조 B조 C조 D조
#
1
뉴질랜드
호주
스페인
잉글랜드
#2
노르웨이
아일랜드
코스타리카
아이티
#3
필리핀
나이지리아
잠비아
일본
#4
스위스
캐나다
일본
중국
E조 F조 G조 H조
#
1
미국
프랑스
스웨덴
독일
#2
베트남
자메이카
남아공
모로코
#3
네덜란드
브라질
이탈리아
콜롬비아
#4
포르투갈
파나마
아르헨티나
대한민국

다음 포스팅에서는 자랑스런 우리 태극낭자들과 혈전을 벌일 H조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H조가 만약 남자월드컵에서 일어났다면, 그야 말로 H조의 또 다른 이름은 "복수혈전"조라고 명명해도 과언이 아닐 조입니다.

반응형